본문 바로가기
건강

폭식증 그 심각한 증상과 원인

by anotherstorys 2023. 6. 4.
반응형

신경성 폭식증은 우리의 생명까지 위협하는 섭식 장애입니다. 이 증상은 음식을 폭식하고 나서 그에 대한 보상으로 섭취된 음식을 제거하려는 노력이 뒤따르게 됩니다. 이렇게 반복되는 폭식과 구토 등의 증상은 우리 몸의 심장과 주요 소화 기관과 정신적인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과식증이 있는 사람들은 주기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을 빠르게 먹습니다. 이 과정 중에 식단을 조절하려는 통제력은 상실됩니다. 

 

과식과 폭식 후에는 그것을 몸에서 제거하기 위해 구토제를 복용하고 일정 기간 전혀 음식을 먹지 않는 금식, 평소보다 지나치게 많은 운동으로 칼로리를 소비하려는 노력 등이 뒤따르게 됩니다. 특히 10대 ~ 20대 여성 들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추측건대 유전적, 심리저그 문화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모든 섭식 장애 치료와 같이 이 폭식증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치료는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적절한 치료와 지원을 받아야 폭식증 증상에서 회복할 수 있습니다. 

 

구토를 시도하는 여성

폭식증의 증상 

폭식과 제거의 행동이 반복 됩니다. 단시간 동안 고칼로리의 많은 양의 음식을 통제력 없이 섭취하는 것이 증상의 시작입니다. 더부룩함을 지나 구토가 생길 때까지 폭식하게 됩니다. 이 시간 동안에 본인은 무엇을 왜 얼마나 많이 먹고 있는지에 대한 인지력이 없어집니다. 보통 주기적으로 나타나지면 한번 나타나면 며칠간 지속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폭식 단계를 지나면 바로 인지력이 강하게 생겨 본인의 폭식을 탓하고 그것을 제거하려 시도합니다. 보상 행동이라고 부르는 이 증상 역시 폭식증의 한 단계입니다. 이때 섭취한 음식을 억지로 토하거나 심지어 구토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평소에 하지 않던 격렬한 운동도 시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다보면 만성적인 인후통증, 위산 역류와 속 쓰림, 변비 혹은 설사, 복통, 안면의 급격한 부기, 충치 발생, 심한 탈수와 어지러움 등이 생기게 됩니다. 여성의 경우 생리가 불규칙 해지거나 없어지는 증상도 생길 수 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뚱뚱한 체형의 사람들이 이 증상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체형과 상관없이 이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성에게 흔하게 나타나지만 남성에게는 심각하지 않게 진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질병의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어린 나이에 너무 빨리 다이어트나 체중 감량을 요구받은 경우나 사회적 혹은 문화적으로 날씬한 몸매가 이상적으로 아름답다는 집착, 성폭행과 학대를 받은 경우, 본인의 신체에 불만이 있는 경우, 뇌의 만족감과 기분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세로토닌과 도파민의 분비가 적은 경우, 유전적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더 많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신 혹은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이런 증상을 보이는 경우 지체 없이 의사를 찾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전문의를 만나면 먼저 문진을 통해 병력과 생활 패턴을 파악하게 됩니다. 그리고 평소의 식습관과 운동에 대해서도 자세한 질문을 받을 것입니다. 이런 문진은 정신적인 문제를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의학적인 통계 매뉴얼을 바탕으로 합니다. 

 

이때 기준이 되는 것은, 최소 3개월에 한번 이상 이 증상이 발현되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런 경우 추가로 구토 혹은 구토를 시도하면서 안압이 높아져 눈 안 혈관이 파손되었는지를 보게 됩니다. 구토를 위해 억지로 손가락을 입안에 자주 넣으면서 생긴 손가락 관절의 상처나 굳은살 등도 찾아볼 것입니다. 기본 혈액 검사 및 전해질, 탈수 검사와 심전도 검사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신경성 폭식증의 치료 

이 질병은 반복되기 전 조기 치료가 아주 중요합니다.  한 명의 주치의 이외에도 영영사, 정신건강 전문의 및 섭식 장애 전문가가 팀으로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플루옥세틴이라는 약물치료가 우선적으로 진행될 것이며, 프로작이라는 약으로 식습관을 개선시키는 항우울증제가 처방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 이외에 정신적인 상담 또한 함께 진행되어야 합니다.  그룹 상담 역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반응형